<신규 핵심 교양 「인간과 해양: 융합적 사고와 의식의 전환」의 안내>
2024년 2학기에 핵심교양(사회영역, 이진한 교수) 강의를 신규 개설하오니
학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.
– 학수번호와 강의시간: GESO 164, 목요일 5-6교시(오후3-6시).
– 강의 형식: 해양 분야 전문가의 특강(한국해양재단 후원)
| 주차 | 1교시 | 2교시 | |
| 강연자/주제 | 강연자/주제 | ||
| 9월 5일 | 이미혜(고려대) | 김인현(고려대) | |
| 해양이란 무엇인가? | 내가 체험한 바다 | ||
| 2. 9월 12일 | 최재선(전 KMI 연구위원) | 문해남(한국해양재단) | |
| 바다 일, 바다 비지니스 | 해양의 현대적 의의와 해양사상 고취 | ||
| 3. 9월 19일 | 조영헌(고려대) | 최영호(고려대) | |
| 중국의 대운하와 해양 | 해양문학의 세계 | ||
| 4. 9월 26일 | 한덕훈(KMI) | 연속 강의 | |
| 한국 어업과 ODA 사업 | |||
| 5. 10월 10일 | 김영춘(전 해양수산부 장관) | 연속 강의 | |
| 한국의 해양정책 | |||
| 6. 10월 17일 | 정필수(전 KMI 부원장) | 연속 강의 | |
| 한국의 해운 물류 산업 | |||
| 7. 10월 24일 | 정순일(고려대) | 진호신(한국해양문화재연구소) | |
| 동아시아불교의 해상교류 | 한국의 수중발굴 | ||
| 8. 10월 31일 | 이진한(고려대) | 중간고사 | |
| 고려시대 바다와 배 | |||
| 9. 11월 7일 | 임현택(국민대) | 연속 강의 | |
| 인천 해저상 도시 | |||
| 10. 11월 14일 | 박성욱(KIOST) | 연속 강의 | |
| 해양법과 해양광물개발 | |||
| 11. 11월 21일 | 김진아(KIOST) | 연속 강의 | |
| 해양과학과 인공지능 | |||
| 12. 11월 28일 | 이정현(KIOST) | 연속 강의 | |
| 해양생명과 고래유전체의 비밀 | |||
| 13. 12월 5일 | 최영호(고려대) | 홍순재(한국해양문화재연구소) | |
| 바다와 인문학적 상상력 | 한국의 고선박 | ||
| 14. 12월 12일 | 조영헌(고려대) | 최재선(전 KMI 연구위원) | |
| 정화의 대원정을 보는 여러 관점 | 한국의 해양교육과 해양문화 | ||
| 15. 12월 19일 | 이진한(고려대) | 기말고사 | |
| 고려시대 해상교류 |